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79

호박, 호박씨 효능 종류별 영양 항암 베타카로틴 호박, 호박씨 효능 종류별 영양 항암 베타카로틴 가을에 노랗게 익는 호박은 우리에게 꽤나 친숙한 채소이다. '호박이 넝쿨째 들어온다' '호박 씨 깐다' '호박 씨 까서 한입에 털어 넣는다' '호박에 줄 긋는다고 수박 되나' '호박에 말뚝 박기' 등 관련 속담이 많다. 호박은 서양인도 정겹게 느낀다. 신데렐라가 파티에 타고 간 것이 호박 마차이다. 할로윈 날에는 호박을 들고 다니거나 호박 가면을 쓴다. 호박의 제철은 3~10월이다. 호박의 원래 의미는 오랑캐가 전해준 박과 비슷하다고 해서 호박이다. 한방에서는 남과라 한다. 영어로는 펌킨, 서머 스쿼시, 윈터 스쿼시 모두 호박을 가리키는 말이다. 미국인에게 인기 높은 주키니도 호박의 일종이다. 호박의 종류는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화초호박, 국수호박 .. 2021. 1. 22.
호두 효능 영양 궁합 부작용 당뇨 항암 오메가3 호두 효능과 영양 성분 궁합 부작용 호두는 생김새가 뇌와 많이 닮았다. 그래서 고대 그리스에서는 머리에 난 상처를 치료할 때 호두를 썼다. 한방에서는 수험생이나 머리를 많이 쓰는 사람에게 권장한다. 머리가 좋아지려면 뇌 모양과 닮은 호두를 즐겨 먹어야 한다는 것이다. 호두의 제철은 9~10월이다. 호두의 원산지는 유럽이다. 지금은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서 전 세계 호두의 66%가 생산된다. 미국에서는 보통 8월 말에서 10월에 수확한다. 국산 호두도 있지만 그 비율은 미미하다. 여느 식물성 식품과는 달리 탄수화물 함량이 100g당 12,6으로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이 호두의 영양상 특징이다. 대신 단백질 15.4g, 지방 66.7g이 많이 들어 있다. 불포화 지방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던 과거에는 호두를 나쁜.. 2021. 1. 21.
밤 효능 영양 성분 비타민D 카로티노이드 견과류 가운데 우리 국민에게 가장 친숙한 밤은 훌륭한 겨울철 간식거리이다. 제철은 9월에서 12월이다. 우리 선조는 9월 초순에서 10월까지 햇밤을 따서 다양한 음식에 사용하고 겨울이면 밤송이를 모아 아궁이에 불을 뗐다. 밤의 영어명은 체스트넛이다. 견과류를 뜻하는 너트가 이름에 들어 있다. 그러나 영양 면에서는 호두, 아몬드 등 다른 견과류와 큰 차이를 보인다. 밤은 한, 중, 일 등 주로 동양인이 즐겨 먹는다. 서양인은 대개 추수감사절 음식에 넣거나 빵, 케이크 등에 넣어 먹는다. 밤을 설탕 시럽에 졸여 만드는 프랑스 과자 마롱글라세가 서양의 대표적인 밤 식품이다. 우리는 군밤, 생밤, 삶은 밤을 겨울 간식거리로 선호한다. 또 밤영양밥, 밤떡, 밤경단, 밤다식, 밤암죽, 밤엿, 밤초, 밤단자, 밤송편.. 2021. 1. 20.
땅콩, 땅콩 껍질 효능 영양 궁합 부작용 항산화 간식거리로 인기가 높은 땅콩은 뿌리가 아니라 열매를 먹는다. 껍질을 깐 것, 껍질이 있는 것, 구운 것, 땅콩버터, 땅콩 기름 등 다양한 형태로 판매되고 있다. 땅콩은 무침, 볶음 요리 등 대부분의 요리와 잘 어울린다. 땅콩의 제철은 9~11월로 원산지는 남미이며 중국을 거쳐 한반도에 들어왔다. 땅콩이나 호콩이라고 불리는 것은 중국을 경유했기 때문이다. 중국은 현재 최대의 땅콩 생산국이다. 낙화생이라는 별칭은 꽃이 진 뒤 씨방이 땅속으로 들어가 콩깍지가 커지면서 맺은 열매라는 뜻이다. 영문 이름인 피넛 때문에 땅콩을 견과류의 일종이라고 오인하는 사람이 많지만 실제로는 콩류에 속한다. 피넛 중 nut보다 pea에 더 가까운 셈이다. 영양 성분 등 여러 면에서 콩과 닮은 데가 많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땅.. 2021. 1. 18.
도토리 효능 영양 부작용 아콘산 자연의 도토리는 상수리, 굴참, 졸참, 떡갈, 신갈, 갈참나무 등 참나무의 열매다. 겉이 단단한 견과류의 일종으로 속에 커다란 씨가 들어 있다. 고만고만하다는 의미인 도토리 키 재기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크기는 엇비슷하나 모양은 타원형, 구형, 난형 등 다양하다. 흔히 다람쥐의 음식으로 알려져 있지만 멧돼지도 좋아한다. '도토리=다람쥐'다. 오래전부터 많은 이들의 생각 속에 이 공식은 이어져왔다. 도토리라는 말만 들어도 모두 입안에 도토리를 한 움큼 물고 있는 다람쥐를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도토리의 한자를 보면 도토리가 다람쥐의 먹이라는 생각이 달라질 것이다. 도토리에 대한 기록은 1417년 향약구급방이라는 책에 처음 등장하는데 여기에 도토리는 저의율로 기록되어 있다. 돼지 저, ~의를 뜻하는 의,.. 2021. 1. 17.
키위 효능 영양 임산부와 태아에게 좋은 과일 뉴질랜드에는 키위가 셋 있다. 첫째는 새 이름 키위다. 이 새는 뉴질랜드에서만 살며 날지 못하는 것이 특징이다. 둘째는 뉴질랜드 사람이다. 겁이 많은 뉴질랜드 인을 키위라는 애칭으로 부른다. 셋째는 과일 이름 키위다. 나라 새인 키위와 비슷한 갈색 털로 덮여 있다고 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사람 키위가 원주민인 마오리 족이 아니라 백인 이주민을 가리키드싱 과일 키위의 원산지도 뉴질랜드가 아니다. 중국 양쯔 강 주변인데 1906년께 중국에서 뉴질랜드로 건너온 차이니즈 구즈베리를 개량한 것이다. 키위는 이제 세상에 나온 지 100년 남짓한 젊은 과일이다. 한 개의 무게는 100g가량이며 속살은 겨자색인 골드키위 이거나 밝은 녹색이다. 맛은 딸기와 멜론을 합친 것 같다. 키위도 바나나처럼 완전히 익은 것을 .. 2021. 1. 16.
수박 효능 종류 수박씨 영양 라이코펜 한여름 불볕 더위 갈증 해소제인 수박을 빼놓고는 여름을 지낼 수 없다. 수박의 제철은 6~8월이며 수박의 수분 함량은 91%로 갈증을 빠르게 없애준다. 특히 땀을 많이 흘리고 햇볕을 쬐어 속이 메스껍거나 토하려고 할 때는 냉수보다 낫다. 수분이 가득한 수박의 주산지는 의외로 건조한 지역이다. 원산지는 아프리카의 칼라하리 사막이 원산지며 중국의 실크로드 일대에서 재배되는 수박이 유명하다. 동의보감에 따르면 수박은 고려 때 우리나라에 들어왔다. 거란족에게 종자를 얻어 처음 심었다는 것이다. 또 '성질이 차고 맛이 달다. 속이 타고 열이 나는 갈증과 더위에 의한 독을 제거하는데 쓴다. 소변을 잘 통하게 하고 피똥을 싸는 혈리, 입이 허는 구창을 다스리기 위해서도 처방된다'라고 쓰여 있다. 한방에선 몸을 차게 .. 2021. 1. 15.
옥수수 효능 영양 옥수수수염차 미네랄 옥수수는 감자와 함께 강원도를 대표하는 작물이다. 강원도의 도로를 주행하다 보면 옥수수를 내다 파는 사람들을 자주 만난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옥수수 자급률은 1%에도 미치지 못한다. 주로 미국에서 수입하는 엄청난 양의 옥수수 중 극히 일부만 식용이다. 대부분은 가축의 사료로 쓰인다. 옥수수 원산지는 중미나 남부 멕시코로 기원전 3400년경부터 길러 왔다. 지금도 멕시코에선 주식이나 다름없다. 북미의 인디언들은 옥수수를 씨중의 씨, 거룩한 어머니라고 칭송했다. 또 옥수수, 시금치, 호박을 세 자매라고 불렀다. 셋을 함께 심고 식탁에서 가장 중요한 존재로 여겼기 때문이다. 미국은 콘 벨트라고 불리는 광대한 지역에서 전 세계 옥수수의 약 40%를 생산한다. 콘은 미국에선 옥수수 이지만 영국에선 밀 등 곡류를 .. 2021. 1. 15.
팥, 팥물 효능 영양 부작용 안토시아닌 사포닌 팥에 함유된 탄수화물은 팥 100g당 684g, 콩 60.6g으로 콩이 단백질과 지방이 풍부한 식품이라면 팥은 탄수화물 식품이다. 팥의 한자명은 소두, 적두, 홍두다. 대두인 콩보다 크기가 작아서다. 팥껍질은 콩 껍질보다 단단하다. 콩 껍질은 여섯 시간 가량 물에 담그면 물러지지만 팥 껍질은 24시간을 담가야 약간 부풀어 오른다. 그래서 팥은ㅇ 대개 깨서 물에 불린다. 팥은 굳이 냉장고에 보관할 필요가 없다. 잘 말린 뒤 항아리에 넣어서 시원한 곳에 두면 오래 두고 먹을 수 있다. 수분이 거의 없는 상태에선 세균, 곰팡이 등이 살지 못하기 때문이다. 팥은 보관 도중 팥바구미 등 벌레가 생길 수 있다. 이를 예방하려면 부숴서 보관하는 것이 좋다. 팥이 들어가는 음식 중 가장 유명한 것은 팥 시루떡과 동지의.. 2021. 1.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