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9

죽순, 죽순차 효능 영양 손질 방법 대나무와 비는 인연이 깊다. 우후죽순은 놀랄 만큼 생장이 빠른 것을 가리킨다. 우후죽순이란 말에서 느껴지듯이 죽순은 기가 왕성한 채소다. 대나무의 어린 순인 죽순은 40~50일 이면 대나무로 자란다. 죽순은 4~6월에 땅에서 솟아 나오는데 대개 15~20cm 정도 자란 것을 채취해 껍질을 벗긴 뒤 하얀 알맹이만 먹는다. 죽순의 제철은 5~6월이다. 음식으로 먹는 것은 왕대, 솜대, 죽순대의 순이다. 대 마디 사이에 고리가 한 개면 맹종죽, 두개면 왕대나 솜대이다. 대나무는 잎과 수액도 먹는다. 잎에는 항염, 항균 작용을 하는 퀴논 성분이 들어 있다. 그래서 떡을 댓잎에 싸서 찌면 잘 상하지 않는다. 대나무 잎차의 원료는 대부분 산죽의 잎이다. 다 자란 대에서 나오는 수액도 마실만하나 고로쇠 수액 만큼 대.. 2021. 1. 13.
우엉, 우엉차 효능 영양 궁합 사포닌 우엉은 독특한 향기와 아작아작 씹히는 맛이 좋은 버릴 게 하나도 없는 채소이다. 주로 우엉 뿌리를 먹지만 어린 순은 삶아서 무쳐 먹고 심장 모양인 잎은 기름에 튀겨 먹으며 뿌리는 졸여서 반찬으로 쓴다. 대개 우엉은 볶음, 조림, 튀김, 무침, 샐러드, 김밥 등에 쓰인다. 기름에 볶으면 단맛이 강해진다. 육류, 생선 요리에 조금만 넣어도 잡냄새를 없애 음식의 풍미를 높여준다. 우엉의 아삭아삭한 맛을 살리려면 미리 데친 뒤 천천히 조리는 것이 요령이다. 우엉은 추어탕의 재료로도 쓰이는데 미꾸라지 특유의 미끈미끈한 물질을 우엉이 흡수해주기 때문이다. 반찬으로 먹을 때는 쌀뜨물에 삶아 껍질째 조리해야 진정한 맛을 즐길 수 있다. 우엉의 감칠맛은 껍질에서 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엉 뿌리의 껍질은 표면을 씻거나 .. 2021. 1. 13.
오이 효능 영양 부작용 오이는 수박, 호박 등과 사촌간이며 원산지는 태국이다. 오이의 제철은 4~7월이다. 무더위가 심할 때 오이를 먹으면 금세 시원한 느낌이 들고 갈증이 사라진다. 오이는 성질이 찬 채소다. '애즈 쿨 애즈 큐컴버'라는 영어 관용어가 있을 정도다. 실제로 오이 속살의 온도가 겉보다 낮다. 한방에서는 몸이 차가워지면 혈액순환이 나빠지고 신진대사가 떨어져 각종 질병에 걸리기 쉬워진다고 본다. 중국인들이 여름철 외에는 오이를 삶거나 볶는 등 주로 가열해 먹는 것은 오이의 찬 성질이 몸을 더 차게 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우리 국민에게 오이는 주렁주렁 잘 열리는 친근한 채소다. 하지만 유럽인은 오이라고 하면 차가움, 고독 등 부정적인 이미지를 떠올린다고 한다. 오이에도 종류가 많은데 그중 가장 구분하기 쉬운 것은 .. 2021. 1. 12.
연근, 연잎차, 연꽃차 효능 영양 부작용 연은 버릴 것이 하나도 없는 식물이다. 봄에 싹이 올라오기 시작하는 연잎, 7월 중순께 활짝 피는 연꽃, 10~12월에서 이듬해 3월에 수확되는 연근이 모두 한방 약재로 쓰인다. 연근의 제철은 12~3월이다. 연은 다시 홍련과 백련으로 나뉜다. 이 중 꽃이 분홍색인 홍련은 잎의 지름이 40cm가량이며 뿌리만 먹는다. 식용, 약용으로 주로 쓰이는 것은 흰 꽃이 피는 백련이다. 잎의 지름이 약 60cm로 홍련보다 크고 부드러운 것이 특징이다. 연근의 주산지는 전남 무안, 함평, 보성, 전북, 김제, 충남 아산 등이다. 연꽃은 불교를 상징하는 꽃이다. '속세에 물들지 않으니, 연못 속에 핀 연꽃 같다'라는 부처님의 가르침도 있다. 물속에서 피어나지만 절대 물에 잠기는 일이 없고 진흙에서 피어나지만 결코 진흙에.. 2021. 1. 11.
반응형